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9

빽없이 성공할 확률? 사람들이 나를 볼 때는 아마 내가 하고 싶은 것만 하고 사는 사람인 줄 알 것이다.그런데 사실은 정반대일 수도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하고 싶은 것과는 거리가 멀다고 말할 수 있겠다.해야만 하는 것을 하는 것이다. 솔직히 말하면 공부하는 게 가장 쉽다.그런데 나는 공부만 할 수 없다. 학부 졸업이 늦어진 것도,남들에게 보기 좋은 취업 자리를 여럿 퇴짜 놓거나 금방 퇴사한 것도,전부 먹고살 길을 찾기 위한 것이었다. 내 언니는 미술을 전공했고,내 동생은 음악을 전공했다.그리고 무한한 편애를 받고 자란 남동생은 자기 하고 싶은 것만 하고 산다. 누가 보면 집이 잘 사는 줄 알겠다.전혀 아니다.나는 중3부터 제대로 의식주 해결도 어려웠고,공부도 독학, 사업도 독학, 내가 해 온 모든 것을 독학해서 했다. .. 2025. 7. 16.
미국 스타게이트 5000억 달러 투입, 새로운 황금기의 시작? (AI, 질병)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 후로 미국 증시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원달러 환율은 1470원대에서 1430원대로 하락했다. 테슬라 주식으로 재미를 조금 보고 무사히 52주 고점 근방에서 손을 털고 나왔으나 ETF에 물려 있었는데 트럼프 효과로 다시 빨간불을 되찾았다. 결과적으로 나의 미국 주식은 지금까지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다. 이렇듯이, 미국의 힘은 대단하다. 한국은 안 되고, 미국은 되는 것을 관찰하고 분석하다 보니 빽 없는 동양인이 성공하려면 달러를 벌어야 한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고, 그렇게 달러를 벌게 되고, 아주 작은 돈이지만 미국 주식에 투자도 하게 되었다. 이렇게 계속하다 보면 40살까지는 상당한 달러를 가질 수 있게 될 것 같다. 내가 설정한 방향성이 적절하다는 것을 Donald J. .. 2025. 1. 23.
다이소는 부동산 기업인가? (박리다매로는 설명이 안 되는 것 같다) 타오바오에서 배송 대행지를 끼고 직구를 하는 시절을 넘어서, 알리익스프레스로 직배송 직구 시절이 있었고, 지금은 테무로 더 빠르고 간편하게 직배송 직구를 하는 시대이다. 이렇게 중국 생산 제품을 직구로 구매하는 경험이 쌓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다이소와 비교하게 된다. 아무리 박리다매 전략으로 질 좋은 제품을 저렴하게 판매한다고 할지라도, 단지 이 전략만으로는 계산이 안 되는 측면이 있지 않나 싶다. 자세한 건 재무제표를 살펴봐야겠지만, 입지 좋은 상권에 다이소 매장이 있는 것만 봐서도 부동산으로 인한 수익이 숨은 진짜이지 않을까. 일단 갑자기 떠오르는 생각을 기록해 둔다. 2024. 8. 9.
뇌 회로 조절 (광유전학 빛으로 뇌 회로 조절, 원격 조절) https://youtu.be/MqlXDc_DTX4?si=glSo4eg8Ku3cXImw 역시 연세대에서 한 거 아닌가 했는데 맞구나.영상 스크립트 국내 연구진이 자기장으로 뇌 회로를 조절하는데 성공했습니다. 나노입자를 뇌 특정 부위에 넣은 뒤에 자기장으로 자극하는 방법으로 식욕은 물론 모성애까지 활성화했습니다. 머리에 나노입자를 주입한 초록색 쥐, 자기장을 켜자 새끼 쥐를 입으로 물어 자신의 둥지로 데려옵니다. 어미 쥐가 아니지만 모성애를 관장하는 뇌 부분을 자극받아 새끼들을 보는 겁니다. 모성애를 조절할 수 있는 지역은 mPOA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머리카락 두께에 500분의 1 정도의 수준에 자성 나노 입자를 써서... 자기장에 반응하는 나노 입자를 조절하고 싶은 뇌의 특정 부위에 넣고 자기장을 발.. 2024. 7. 6.
기후기술 창업 아이템 (도시공학, AI, 헬스케어 융합) GPT-4에게 기후기술 창업 아이템을 물어봤다. Q. 학사로 도시공학(Urban design and planning)을 전공하고 석사로 AI Convergence를 Brain Science로 전공한 사람에게 적합한 기후기술 창업 아이템을 알려줘 A. 학사로 도시공학을 전공하고 석사로 AI 융합을 뇌과학으로 전공한 사람에게 적합한 기후기술 창업 아이템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전공은 각각 도시 환경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분석 능력을 결합할 수 있는 강점을 제공합니다. 다음은 그러한 배경을 활용한 기후기술 창업 아이템 몇 가지입니다:1. 스마트 도시 기후 대응 시스템설명: 도시 내 기후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시스템을 개발합니다.핵심 기술: Io.. 2024. 7. 4.
OO을 팔아 계층 상승을 이루는 현상 지금 한국의 트렌드는 상대적으로 약자의 위치에 있었다는 것을 selling 해서 유명해지고 떼돈을 버는 현상 자체인 것 같다.유튜브가 대중의 미디어로 자리를 확고히 잡았는데, 연예인급으로 급상승하는 유명 유튜버들의 사례를 보면 그 도약의 시점에 꼭 OO 팔이를 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개인적으로, 30이 넘었으면 청소년기부터 20대까지 나의 의지와는 전혀 상관없이 펼쳐진 상황들 속에서 살았더라도 그런 기억과는 연을 끊고 오로지 자신을 믿고 경제적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런 OO 팔이는 자칫하면 약점이 되어 자신이 휘둘렀던 무기가 도리어 자신을 향해 위협하는 무기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래서 나는 OO 팔이를 하지 않는다. 그런데, 그런 것이 영악스럽지 못한 어리석은 신념인가 싶기도 .. 2024. 6. 8.
기술 발명 특허 출원 방법 및 절차 정리 [1. 출원신청사전절차]0) 선행기술 정보 검색 http://www.kipris.or.kr  http://www.scienceon.kisti.re.kr (의무사항 아님)1) 특허고객번호 신청 (특허로 홈페이지에서)2) 인증서등록3) 전자출원SW 설치 [2. 명세서/서식 작성]1) 출원서2) 요약서3) 명세서 1. 종래의 공지기술과 본발명의 신규기술을 명확히 구분하여 기재 (선행기술 특허 정보를 기반으로 설명.)2. 국어로 작성3. 명세서 작성의 단계별 구상① Ⅰ단계 : 그룹별로 청구범위를 우선 작성독립청구항, 종속청구항으로 작성상세한 설명을 청구범위 용어에 초점을 두고- 체계적인 형태로 발명의 기술사상전체를 고려하여- 청구범위의 용어와 모순이 없게 작성-심사관의 기재불비 해소의 지름길② Ⅱ단계 : 가장 .. 2024. 5. 2.
[스크랩] LVIS 뉴로매치 (NeuroMatch) 뇌 회로 기반 진단, 치료 Brain Circuit, Diagnosis and Treatment 내 연구에 응용해볼만한 부분 (EEG, Bold signal Classification 모델 개발) Brain Connectivity Analysis 방법론과 비교해서 Brain Circuit 방법론이 가지는 임상적 우월성 혹은 이점이 무엇인지 추가 조사하여 정리 필요 2024. 1. 27.
[스크랩] 뇌과학자, 교수,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창업자 이진형 인생 자체가 ‘파이어니어’...한국 여성 첫 스탠퍼드대 종신 교수 인생 자체가 파이어니어...한국 여성 첫 스탠퍼드대 종신 교수 실리콘밸리 창업·뇌 과학 석학 40대에 모두 이뤄낸 이진형 교수 www.chosun.com “요새 많은 학생이 선망하는 직업인 의사가 안 된 것을 전혀 후회하지 않는다”며 “과학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이 시대에 과학자를 하는 것은 참 행운” “유학 당시 공부는 참 재미있었지만 목표 의식이 불분명해 연구에 대한 흥미가 없었다”고 말했다. 박사를 졸업할 때쯤 외할머니가 뇌졸중으로 쓰러졌다. 그는 “뇌 질환 치료를 왜 저렇게밖에 못 하는지 의문이 생겼다”며 “풀고 싶은 문제가 생기니 목표가 뚜렷해졌다” 이 교수는 뇌 질환 극복을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2013년에는 뇌 질환 진단·.. 2024. 1. 27.
How to Plan an MVP? 완벽이라는 허상과 작별하라 MVP를 개발하는데 '이것도 공부하고 저것도 공부하고 이쁘게 만들어야지'라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면 창업과는 맞지 않은 사람일 수 있다. 일단 빠르게 결과물을 내는 것이 가장 최우선이다.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하고 더 있어보이게 더 이쁘게는 나중 일이다. 더 완벽하고 더 구색을 갖추고 그런 욕심이 드는 것은 당연하겠지만, 그런 생각으로 삽질을 하고 있다는 것을 빠르게 알아차리고 지금 이 일을 하는 것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설정해서 뇌 속의 스위치를 바꿔 일단 결과물을 만들어야 한다. 아, 그런데 한 가지 유의할 점은, 그 판단 기준이 본인의 주관(똥고집)이나 어떠한 전문가(진짜 전문가인지는 알 수 없다) 한 사람의 의견이 되면 안 된다는 것이다. 스타트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2023. 12. 20.